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WCST)는 인지 유연성, 추상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신경 심리학적 검사이다. 참가자는 카드에 나타난 색, 모양, 숫자의 규칙을 파악하여 카드를 분류해야 하며, 규칙은 예고 없이 변경된다. WCST는 주로 전두엽 기능 부전을 평가하며, 뇌졸중, 외상성 뇌 손상, 신경 퇴행성 질환, 정신 질환 환자, 그리고 연구에서 뇌 기능 및 질환 연구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지 검사 - 거울 검사
거울 검사는 동물이나 인간이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는지 평가하는 실험으로, 대상에게 표식을 남긴 후 거울을 보여주고 반응을 관찰하여 자기 인식 능력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지만, 방법론적 한계와 해석의 다양성으로 논쟁의 여지가 있다. - 인지 검사 - 벤더-게슈탈트 검사
벤더-게슈탈트 검사는 시각-운동 기능과 지각 운동 발달을 평가하는 심리 검사로, 로레타 벤더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연령층에서 신경학적 손상, 비언어적 학습 장애, 정서적 문제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 신경심리검사 - 글래스고 혼수척도
글래스고 혼수척도는 눈 뜨기, 언어 반응, 운동 반응을 평가하여 의식 수준을 측정하는 신경학적 척도로, 총점 3점에서 15점으로 표시되며 점수가 낮을수록 의식 수준이 낮고, 뇌 손상 환자 평가에 널리 사용되지만 비판도 존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일본 혼수척도와 함께 사용되고 2세 미만 어린이는 소아 글래스고 혼수척도를 사용한다. - 신경심리검사 - 신경심리학적 상태 평가를 위한 반복배터리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 | |
---|---|
개요 | |
![]() | |
목적 | 전두엽 기능 장애 측정 |
검사 대상 | 개념 형성 인지적 유연성 추상적 사고 능력 |
기반 | 추상화 집행 기능 |
상세 정보 | |
측정 | 주의력 작업 기억 시각적 처리 |
관련 뇌 영역 | 전두엽 |
관련 질환 | 정신 분열증 강박 장애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외상성 뇌손상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유사 검사 | 델리스-카플란 집행 기능 시스템 (D-KEFS) 카드 분류 검사 범주 검사 |
추가 정보 | |
동의어 | WCST |
2. 검사 방법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WCST)는 자극 카드를 제시하고 카드 맞추기 지시를 내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3] 카드 맞추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지시는 주어지지 않지만, 참가자는 카드를 맞출 때마다 맞는지 틀리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다.[4]
WCST는 자폐증 환자,[10] 뇌졸중 회복 환자,[11] 소아 환자,[12] 정신과 환자 등 여러 집단에서 신뢰성과 타당성이 입증되었다.[13]
2. 1. 검사 절차
참가자에게는 여러 장의 카드가 제시된다. 이 카드에 그려진 기호는 색깔, 개수, 모양이 서로 다르다. 참가자는 이 세 가지 기준 중 하나에 따라 카드를 분류해야 한다. 그 후, 참가자는 한 묶음의 카드를 받아 앞서 제시된 카드에 대해 한 장씩 분류한다.[3]참가자는 어떤 기준으로 카드를 분류해야 하는지 모르지만, 한 장씩 분류할 때마다 맞는지 틀리는지 피드백을 받는다.[4] 과제 도중에 분류 규칙이 예고 없이 변경되며, 참가자가 새로운 규칙을 얼마나 빨리 학습하고 이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실수를 하는지 등이 분석되어 점수로 계산된다.
원래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는 종이 카드를 사용하여 검사자와 참가자가 마주 보고 진행했다.[34] 1990년대 초 컴퓨터 버전이 개발되었고,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호환 버전 4.0이 제작되었다.[35] 컴퓨터 버전은 수동 채점 방식에서 매우 복잡했던 점수 계산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검사 시간은 약 12분에서 20분 정도이며, 맞춘 범주, 시행 횟수, 정답, 오답, 보속적 오답(이전 규칙에 고착되어 발생하는 오류)의 수, 백분율, 백분위수 등 다양한 정신 측정적 점수를 얻을 수 있다.[6][7][8][9]

2. 2. 검사 도구
처음에는 평가자가 종이 카드를 사용하여 책상 한쪽에 앉아 다른 쪽에 있는 참가자를 마주보는 방식으로 카드를 제시했다.[5] 원래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는 종이 카드를 사용했다.[34] 그러나 1990년대 초 컴퓨터 버전이 만들어졌고, 최근에는 Microsoft Windows 호환 버전 4.0이 제작되었다.[35] 수동 채점을 사용하면 약 12~20분이 소요되지만, 컴퓨터를 사용하면 이 시간이 크게 줄어든다.[6][7] 컴퓨터 버전은 복잡했던 점수화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35]테스트 결과는 여러 유용한 심리 측정 점수를 생성하며, 여기에는 달성한 범주 수, 시행 횟수, 오류 횟수 및 보속적 오류(이미 규칙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 규칙을 기반으로 여러 번 실수를 범하는 상태)의 숫자, 백분율, 백분위 수가 포함된다.[8][9]
3. 임상적 활용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WCST)는 집행기능을 측정하는 데 유용하며, 특히 전두엽 기능 장애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심리 검사이다.
WCST는 6.5세에서 89세까지의 사람들에게 실시할 수 있으며,[21][22] 주의력, 작업 기억, 시각 처리 등 여러 인지 기능에 의존한다.[23][24][25] 이 검사는 원래 추상적 추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26] 문제 해결 전략을 변경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데에도 활용된다.[27][28]
WCST는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 다른 심리 검사와 함께 사용하여 전두엽 손상 여부 및 정도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장기간 반복 검사를 할 경우, 참가자가 과제 수행 전략을 학습하여 검사 결과가 왜곡될 수 있으므로 결과 해석에 주의해야 한다.[32][33]
최근 요인 분석 연구에 따르면, 전두엽 배외측부 손상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보속적인 오답의 수가 뇌 손상을 평가하는 데 가장 좋은 지표로 밝혀졌다.[37] 이러한 장애는 '집행 기능 장애'라고 불리기도 한다.
3. 1. 뇌 손상 환자
1948년 이후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WCST)는 신경심리학자와 임상 심리학자가 외상성 뇌 손상,[11][14][15] 뇌졸중 등 후천성 뇌 손상 환자의 전두엽 기능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해 왔다. 이 검사는 전두엽 기능 부전을 측정하기 위해 환자에게 실시할 수 있는 여러 심리 검사 중 하나이다.[17][18] WCST를 통해 임상의는 전략적 계획, 조직적 탐색, 환경 피드백을 활용하여 인지 세트 변경, 목표 달성을 위한 행동 지시, 충동적 반응 조절 등과 같은 전두엽 기능을 추론할 수 있다.[19][20]WCST와 같은 심리 검사만으로 전두엽 손상의 영향이나 작업 기억과 같이 전두엽 손상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지 기능의 측정을 할 수는 없다. 따라서 다양한 검사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17][30][31]
3. 2. 신경퇴행성 질환 환자
신경심리학자와 임상 심리학자는 신경퇴행성 질환 환자의 집행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해 1948년부터 이 검사를 사용해 왔다.[11][14][15] 이 검사는 전두엽 기능 부전을 측정하기 위해 환자에게 실시할 수 있는 여러 심리 검사 중 하나이다.[17][18] WCST를 통해 임상의는 전략적 계획, 조직적 탐색, 환경 피드백을 활용한 인지 세트 변경, 목표 달성을 위한 행동 지시, 충동적 반응 조절 등과 같은 전두엽 기능을 추론할 수 있다.[19][20]3. 3. 정신 질환 환자
1948년 이후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WCST)는 신경심리학자와 임상 심리학자가 외상성 뇌 손상,[11][14][15] 신경퇴행성 질환, 정신 질환 (예: 정신 분열증) 환자에게 사용해 왔다.[13][16] 이 검사는 전두엽 기능 부전을 측정하기 위해 환자에게 실시할 수 있는 여러 심리 검사 중 하나이다.[17][18]임상적으로 이 과제는 신경심리학(신경심리학자)이나 임상심리학(임상심리학자), 신경학(신경학자), 정신 의학(정신 의학자) 사이에서 후천성 뇌 손상이나 신경 퇴행성 질환, 정신 분열증과 같은 정신 질환 환자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과제는 전두엽의 기능 장애에 민감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집행 기능(executive function)의 측정 방법으로 유효하다고 여겨진다.
이 과제를 올바르게 수행하려면 주의력, 작업 기억, 시각 처리 등 다양한 인지 기능이 정상이어야 하지만, 이 과제는 "전두엽" 검사라고 통칭된다. 이는 전두엽에 손상이 있는 환자 대부분이 과제 성적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전두엽 배외측부에 손상이 있는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보속적인 오답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6]
4. 연구 활용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WCST)는 집행기능을 평가하는 검사로, 반응 및 작업 기능, 계획 및 조직화 능력 등을 측정한다. 이 검사는 양전자 단층 촬영술(PET)이나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 등 뇌 기능 영상 연구와 조현병 연구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38][39][40][41]
4. 1. 뇌 기능 연구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는 PET나 fMRI 등 뇌 기능 영상 실험의 패러다임으로 사용된다. 초기 PET 연구를 통해 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전전두피질 배외측부에서 유의미한 활동이 관찰되었다[38][39]。 최근의 fMRI 연구에서는 전전두피질 복외측부나 미상핵이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에 필요한 세트 전환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로 밝혀졌다. 또한, 한때 순수한 운동계 장애로 여겨졌던 운동 신경 질환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 환자에게 이 과제를 적용함으로써, 이들 중 적어도 일부에게 어느 정도의 인지 기능 장애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발달 장애의 경우,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환자는 이 테스트에서 전전두피질 활동이 활성화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4. 2. 질환 연구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는 PET나 fMRI 등 뇌 기능 영상 실험의 패러다임으로 사용된다. 초기 PET 연구를 통해 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전전두피질 배외측부에서 유의미한 활동이 관찰되었다.[38][39] 최근의 fMRI 연구에서는 전전두피질 복외측부나 미상핵이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에 필요한 세트 전환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로 보고있다.운동 신경 질환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 환자(한때 순수한 운동계 장애로 여겨졌던)에게 이 과제를 적용함으로써, 이 환자들 중 적어도 일부에게 어느 정도의 인지 기능 장애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발달 장애에서는 ADHD가 이 테스트에서도 전전두피질의 활동이 활성화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 과제는 조현병에 관한 연구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40][41]
5. 한계점
신경심리학 검사인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WCST)는 단독으로 전두엽 손상 여부를 진단할 수 없다. 따라서 다른 신경심리검사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17][30][31]
동일한 개인에게 장기간에 걸쳐 반복 시행하면 검사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 참가자는 검사에 익숙해져서 단순히 과제 수행 전략을 학습한 것일 수 있지만, 이것이 집행 기능의 개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검사를 시행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32][33]
참조
[1]
논문
Wisconsin card sorting revisited: Distinct neural circuits participating in different stages of the task identified by event-relat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2001
[2]
논문
A simple objective technique for measuring flexibility in thinking
1948
[3]
학술지
Wisconsin Card Sorting Test
https://doi.org/10.1[...]
2014
[4]
학술지
Does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Measure Prefontral Function?
https://www.cambridg[...]
2001
[5]
학술지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s a Measure of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in Stroke Patients
https://www.tandfonl[...]
2010-11-30
[6]
학술지
A Comparison of Computerized and Standard Versions of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https://www.tandfonl[...]
1999
[7]
논문
Wisconsin card sorting test: computer version 2
1993
[8]
학술지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ith children: a meta-analytic study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2004
[9]
학술지
The Reliability and Internal Validity of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http://www.tandfonli[...]
1998
[10]
학술지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in studies of autism.
http://doi.apa.org/g[...]
1995
[11]
학술지
Validity of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https://www.tandfonl[...]
2018-07-31
[12]
학술지
Wisconsin Card Sorting Test embedded validity indicators developed for adults can be extended to children
https://www.tandfonl[...]
2018-02-17
[13]
학술지
Wisconsin card sorting test dimensions in schizophrenia: Factorial, predictive, and divergent validity
http://www.tandfonli[...]
1997
[14]
학술지
Detecting Malingered Performance With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 Traumatic Brain Injury
https://www.tandfonl[...]
2002
[15]
학술지
The Effect of Type and Area of Brain Lesion on Wisconsin Card Sorting Test Performance
1974
[16]
학술지
Wisconsin Card Sorting Test scores and clinical and sociodemographic correlates in schizophreni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2012
[17]
학술지
Wisconsin Card Sorting Test Performance as a Measure of Frontal Lobe Damage
https://www.tandfonl[...]
1991
[18]
학술지
The utility of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in detecting and localizing frontal lobe lesions.
http://doi.apa.org/g[...]
1980
[19]
학술지
Executive functions in school-aged children: Potential efficacy of tasks in discriminating clinical groups
http://www.tandfonli[...]
1994
[20]
학술지
Executive dysfun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emporal lobe epilepsy: Is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enough?
https://linkinghub.e[...]
2009
[21]
학술지
Age-Related Differences in Performance on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 Meta-Analytic Review.
http://doi.apa.org/g[...]
2004
[22]
학술지
Developmental norms for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https://www.tandfonl[...]
1986
[23]
학술지
Attentional set shifting modulates the target P3b Response in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https://linkinghub.e[...]
2000
[24]
학술지
Neural activities during Wisconsin Card Sorting Test — MEG observation
https://linkinghub.e[...]
2001
[25]
학술지
Physiological activation of a cortical network during performance of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tudy
https://linkinghub.e[...]
1995
[26]
학술지
On the historical and conceptual background of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https://linkinghub.e[...]
2008
[27]
학술지
Neuropsychological functioning in nonreferred sibling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000
[28]
학술지
Cognitive persistenc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ovel measure from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2017
[29]
간행물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9
[30]
학술지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s a measure of frontal pathology: A review
http://www.tandfonli[...]
1993
[31]
학술지
Wisconsin Card Sorting Test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focal frontal and posterior brain damage: effects of lesion location and test structure on separable cognitive processes
https://linkinghub.e[...]
2000
[32]
웹사이트
"The role of prefontal cortex in working-memory capacity, executive attention, and general fluid intelligence: An individual-differences perspective."
http://psychology.ga[...]
2002
[33]
학술지
Practice Effects on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64 Card Version Across 12 Months
https://www.tandfonl[...]
2001
[34]
논문
A simple objective technique for measuring flexibility in thinking
1948
[35]
서적
Computerised Wisconsin Card Sort Task Version 4 (WCST)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003
[36]
논문
Effect of Different Brain Lesions on Card Sorting
Archives of Neurology
1963
[37]
논문
Latent structure of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study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2005
[38]
논문
Physiological activation of a cortical network during performance of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tudy
Neuropsychologia
1995
[39]
논문
Imaging cognition II: An empirical review of 275 PET and fMRI studies
J Cogn Neurosci
2000
[40]
논문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Activity During Maintenance and Manipulation of Information in Working Memory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rch Gen Psychiatry
2005
[41]
논문
The effect of verbalization strategy on Wisconsin Card Sorting Test performance in schizophrenic patients receiving classical or atypical antipsychotics
BMC Psychiatry
1290-01-26
[42]
논문
Wisconsin card sorting revisited: Distinct neural circuits participating in different stages of the task identified by event-relat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001
[43]
논문
A simple objective technique for measuring flexibility in thinking
J. Gen. Psychol.
194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